보형물 위치 교정(근육위·근육밑) 이해
가슴 보형물은 크게 근육위(유선하), 근육밑(대흉근하) 두 위치에 삽입된다. 근육위는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주지만, 얇은 피부에서는 리플링이나 이탈이 잘 나타난다. 반면 근육밑은 리플링을 줄이고 촉감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으나, 운동 시 근육 움직임으로 변형(애니메이션 디포메이션)이 생길 수 있다.
보형물이 원래 자리에서 벗어나거나 모양이 비대칭해지면 위치 교정이 필요하다.
교정이 필요한 순간
- 밑선이 무너져 보형물이 아래로 빠진 경우(버텀아웃)
- 가슴 사이 간격이 벌어져 모양이 퍼져 보일 때
- 보형물이 외측으로 이탈해 옆으로 흘러내릴 때
- 근육 수축 시 보형물 움직임이 심한 경우
- 좌우 비대칭이 도드라질 때
교정 방법
근육위 → 근육밑 전환
- 피부가 얇아 리플링이 보이거나 더블버블이 반복되는 경우
- 대흉근 아래 공간을 활용해 보형물을 안정화
근육밑 → 근육위 전환
- 운동 시 근육 움직임으로 가슴 모양이 찌그러지는 경우(애니메이션 디포메이션)
- 두꺼운 조직을 가진 경우 근육위로 전환해 자연스러움 확보
포켓 재건 및 봉합
- 보형물 이탈 방향에 따라 포켓을 부분 봉합해 공간을 안정화
- 필요 시 ADM(내부 브라)로 구조 보강
보형물 교체
- 체형에 비해 사이즈가 맞지 않아 위치가 반복적으로 틀어지는 경우
- 새로운 사이즈·프로젝션 보형물로 교체
장단점 비교
방법장점단점근육위 → 근육밑리플링 개선, 안정감다운타임 길고 통증 많음근육밑 → 근육위운동 시 변형 개선리플링 가능성포켓 재건·ADM재발 방지, 구조 보강추가 비용 발생보형물 교체체형과 조화 향상흉터·비용 부담
교정 후 관리
- 수술 직후 보정 브라 착용으로 위치 고정
- 4주간 무리한 팔 동작·운동 제한
- 정기 진료(1·3·6개월)로 위치 안정 확인
- 흉터 관리(실리콘 시트, 레이저) 꾸준히 시행
핵심 요약 & 실행 가이드
- 요약
- 보형물 위치 교정은 이탈·비대칭·운동 시 변형이 주요 원인이다.
- 교정 방법은 평면 전환, 포켓 재건, 보형물 교체로 나뉜다.
- ADM 사용은 재발 방지에 효과적이지만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 회복 관리와 보정 브라 착용이 재발 방지의 핵심이다.
- 체크리스트(상담 전 6문항)
- 내 문제는 버텀아웃, 외측 이탈, 비대칭 중 무엇인가?
- 근육위·근육밑 중 어떤 평면 전환이 적합한가?
- 포켓 재건만으로 가능한지, ADM이 필요한지 설명을 받았는가?
- 보형물 교체 여부와 새로운 사이즈·모양의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 수술 후 회복·운동 제한 기간은 얼마나 되는가?
- 비용 견적서에 항목별 내역(포켓, ADM, 교체비)이 명시돼 있는가?
- CTA
상담 전 본인의 증상을 자가 점검표로 정리하고, 평면 변경과 포켓 재건의 장단점에 대해 질문지를 준비해 두자. 이를 통해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위치 교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글은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개인의 병력·체형·검사 결과에 따라 권고가 달라질 수 있다. 최종 결정은 전문 의료진 상담 후 진행해야 한다. 업데이트: 2025-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