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성형 보형물 종류, 한 번에 이해하기
— 20~30대가 꼭 알아야 할 실리콘·식염수·‘가미베어(고응집)’·표면·모양·프로파일
“모티바/멘토/세빈 중 뭐가 좋아요?”, “라운드 vs 물방울?”, “스무스(매끄러움) vs 텍스처드(거칠음)?” — 처음 검색을 시작하면 용어만으로도 머리가 복잡해지죠. 이 글은 가슴성형 보형물의 ‘종류’를 구조적으로 정리해, 내 체형·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선택 기준을 잡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또한 **안전 정보(연령 기준·검사 주기·리스크)**까지 함께 체크합니다.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보형물, 종류별 핵심만 콕
1) 충전재로 나누기
2) 겔의 점성과 일명 ‘가미베어(고응집)’
3) 표면: 스무스 vs 텍스처드
- 스무스(smooth): 부드러운 표면,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촉감 선호도가 높습니다.
- 텍스처드(textured): 과거엔 구형구축(딱딱해짐) 감소를 기대해 쓰였고 물방울형 회전 방지 목적도 있었지만, 일부 ‘거친 표면’ 제품과 드물지만 BIA-ALCL(보형물 연관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연관성이 보고되어 **2019년 특정 모델(알러간 BIOCELL)**은 전 세계 회수 조치가 있었습니다. 현재 무증상이라면 예방적 제거는 권고되지 않는다는 보건당국 가이드도 함께 존재합니다. 선택 시 국가·시점별 허가/권고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OV.UK, Association of Breast Surgery)
한국도 2019년 식약처가 해당 거친 표면 제품의 사용·판매 중지를 명령했습니다. 최신 안전 공지와 사용 현황은 상담에서 재확인하세요. (e-jyms.org)
4) 모양: 라운드 vs 해부학(물방울)
- 라운드(원형): 윗가슴 볼륨을 만들기 쉽고, 회전돼도 모양 변화가 적어 안정적입니다. 프로파일(돌출 높이)에 따라 자연/글래머 연출 폭이 큽니다. (American Society of Plastic Surgeons)
- 해부학(물방울): 자연스러운 물방울 실루엣을 지향하나 회전 시 모양 변화가 있어 과거엔 텍스처 표면과 조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미용적 차이를 지지하는 연구도 있으나, 오늘의 선택은 ‘안전성·허가·집도 경험’과 함께 종합 판단이 필요합니다. (Lippincott)
5) 프로파일(Projection) & 베이스(Base)
- 프로파일: Low/Moderate/High/Xtra 등. 돌출 높이가 클수록 측면 S-커브·정면 볼륨이 커집니다.
- 베이스(지름): 흉곽 폭·어깨 라인·가슴골 간격에 맞춰야 과/소폭 안 생겨요. (멘토의 MemoryGel 라인처럼 다양한 프로파일/사이즈 조합이 일반적) (jnjmedtech.com, Global BIBM)
브랜드 예시, 이렇게 다른가요? (간단 스냅샷)
- 멘토(MENTOR™ MemoryGel™): 코히시브 젤, 다양한 프로파일·지름 조합. 스무스 라운드 옵션이 넓습니다. (jnjmedtech.com)
- 모티바(Motiva® SmoothSilk® Round / Ergonomix®): 표면 미세가공(SmoothSilk)·움직임 반응성(Ergonomix) 콘셉트. 미국 PMA(허가) 완료 라인 공지. (motiva.health, motivausa.com)
- 세빈(Sebbin): 유럽권 라운드·해부학 라인업, 여러 프로젝션·겔 탄성 옵션. (시장/국가별 유통·허가 현황은 확인 필요) (MedicalExpo)
브랜드 비교는 광고 문구보다 허가 범위(국가/연령), 표면/형상, 보증/추적 시스템, 그리고 집도의의 익숙한 조합을 먼저 보세요.
누구에게 어떤 조합이 잘 맞을까? (셀프 체크)
수술 결정, 이렇게 단계별로
- 목표 라인 합의: 가슴골 간격, 상/하부 볼륨 비중, 옆라인 기준 사진으로 언어화.
- 절개 & 평면: 겨드랑이/밑선/유륜 + 근육 위/아래/듀얼플레인. 얇은 피부·윤곽 노출 우려 시 듀얼플레인을 자주 고려합니다.
- 보형물 매칭: 충전재(실리콘/식염수), 표면(스무스/텍스처), 모양(라운드/해부학), 프로파일/베이스를 흉곽·피부 두께에 맞춰 2–3안 제시.
- 안전·라벨링 체크: 연령 허가(실리콘 22+, 식염수 18+) 및 환자용 체크리스트와 추적검사 주기(5–6년 차 첫 US/MRI, 이후 2–3년 간격)를 서명·기록.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회복 로드맵(예시)
- D0–3: 당김·부기, 팔 올림 제한, 압박 브라 시작
- 1–2주: 실밥 제거, 가벼운 등교/사무 복귀(가슴골 압박·엎드림 금지)
- 3–4주: 가벼운 유산소, 팔 가동 범위 확대
- 6주–3개월: 상체/수영/웨이트 단계 복귀, 라인 안정화
회복 속도는 절개/평면·보형물·개인 컨디션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리콘은 정기 US/MRI 추적 계획을 캘린더에 등록하세요.)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리스크·안전, 꼭 알아두기
가격 관점 한 줄 가이드
- 충전재·브랜드·프로파일·절개/평면·사후관리 포함 항목에 따라 폭넓습니다. 이벤트 표기는 원/만원, ‘보형물 일반’ vs ‘특정 브랜드’ 등 기준이 달라 혼동이 잦으니, **최종 견적서는 ‘원(₩) 단위 총액’**으로 비교하세요. (세부 가격은 별도 가격편 참조)
FAQ
Q1. 20대인데 실리콘 선택 가능해요?
A. **미용적 확대는 원칙적으로 22세 이상(실리콘), 18세 이상(식염수)**입니다. 재건수술은 연령 제한 없이 적용됩니다.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Q2. 스무스가 더 안전한가요?
A. **일부 거친 표면(특히 특정 모델)**과 BIA-ALCL 연관이 보고되어 사용이 축소되었지만, 절대적/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허가 현황·증상 교육·정기 추적을 함께 지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Q3. 물방울(해부학) 모양이 더 자연스러워요?
A. 케이스에 따라 미용적 차이를 보였다는 연구가 있으나 회전 리스크와 표면 선택 이슈를 같이 봐야 합니다. 라운드+프로파일 설계로도 자연 라인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ippincott, American Society of Plastic Surgeons)
Q4. MRI는 꼭 해야 하나요?
A. 실리콘 보형물은 무증상이라도 수술 후 5–6년, 이후 2–3년 간격의 초음파 또는 MRI가 권고됩니다(보험 적용 여부는 상이).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merican Society of Plastic Surgeons)
상담 전 체크리스트
- 목표 라인: 가슴골 간격·상/하부 볼륨·옆라인 참고 사진 2–3장
- 충전재 후보: 실리콘 vs 식염수(구조형 가능 여부)
- 표면/모양: 스무스 vs 텍스처드(허가·안전 공지), 라운드 vs 해부학
- 프로파일/베이스: 내 흉곽에 맞춘 2–3안과 이유
- 절개/평면: 겨드랑이·밑선·유륜 / 근육 위·아래·듀얼플레인
- 라벨링 서류: 환자 의사결정 체크리스트, 보형물 카드(시리얼) 수령
- 사후관리·추적: 브라, 흉터 케어, US/MRI 일정(5–6년, 이후 2–3년)
- 견적 비교: VAT·마취·검사·브라·내시경·사후관리 포함/제외 표기
마무리 — “내 몸에 FIT”한 조합이 정답
보형물은 충전재(실리콘/식염수/고응집), 표면(스무스/텍스처드), 모양(라운드/해부학), 프로파일/베이스라는 레고 블록을 내 몸에 맞춰 조합하는 과정입니다. 여기에 연령 기준, 안전 라벨링(체크리스트), 정기 추적검사, 최신 허가/리콜 정보를 더하면 선택이 선명해집니다. 광고 문구보다 근거와 기록으로, 나에게 가장 편안한 보형물을 고르세요.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키워드 힌트: 가슴성형 보형물 종류, 실리콘 보형물, 식염수 보형물, 가미베어 임플란트, 스무스 보형물, 텍스처드 보형물, 라운드 vs 물방울, 프로파일 선택, 모티바 멘토 세빈, BIA-ALCL, 가슴성형 부작용, 가슴성형 회복, 가슴성형 가격.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개인의 의학적 판단·치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보형물 선택·안전 검토·검사 일정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해 개인 상황에 맞춰 결정하세요.